전체 글 33

[CKA 강의 요약] Kublet

Udemy의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강의의 19. Kubelet Server 챕터를 공부한 내용으로 강의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강의를 들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 Kublet Kublet은 배의 선장처럼 worker node의 모든 활동을 주도한다. Kubelet은 master node와 유일하게 통신한다. Master node의 scheduler의 요청대로 pod를 node에 배치한다. (도커와 같은 컨테이너 런타임 엔진에 필요한 이미지를 다운로드 해 달라고 요청하여 인스턴스를 실행한다.) 정기적으로 node와 pod의 상태에 대해 kube-apiserver에 보고한다. 2. Kublet 설치..

[Linux] LVM 구성

0. 서론 내가 보려고 올려 놓는 LVM 구성 메뉴얼이다. 포멧 형식에 따라 다른 명령어 사용하여 구성 필요하다. 신규 디스크1 : /dev/xvdb 추가 디스크2 : /dev/xvdc 마운트 경로 : /data VG 명 : DataVG 1. LVM 구성 # yum install lvm* # fdisk -l # fdisk /dev/xvdb n, p, 1, 엔터, 엔터, t, 8e, w # pvcreate /dev/xvdb1 # vgcreate DataVG /dev/xvdb1 # lvcreate -l +100%FREE -n data DataVG (포멧 형식 선택) # mkfs.xfs /dev/DataVG/data # mkfs.ext4 /dev/DataVG/data (포멧 형식에 따라 선택) # echo "..

[KT Cloud] KT Cloud zone 간 특성

0. 목차 KT cloud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지 않으며 각 존간의 특성을 아는 사람이 많지 않다. 일하며 알게 된 부분을 정리한 내용으로 정확한 내용은 KT cloud에 문의 하는것이 좋다. KT Cloud 존은 하단과 같은 분류로 구분이 가능하다. 각 항목마다 다른 특성을 비교해보자. 1) 지역 천안 : Central-A, B / Dx-Central 목동 : Seoul-M, M2 / Dx-M1 김해 : HA 2) 가상화 플랫폼 Cloud Stack : G1(Central-A, B, Seoul-M) / G2(Central-A, B, Seoul-M) Open Stack : D1(Dx-M1, Dx-central) 3) 보안 지원 범위 보안 관제 X : G1(Central-A, B, Seoul-M) ..

[Zabbix] Zabbix 구조 이해하기

1. Zabbix 엔터프라이즈 급 오픈소스 분산 모니터링 솔루션이다. 직관적인 웹 UI가 편리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1.1 Zabbix 구조 Zabbix Server : 모니터링 서버, 데이터 저장소 Agent : 모니터링 대상 Zabbix 웹 브라우저는 APM(Apache, PHP, MySQL)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버를 설치할 때 APM도 같이 설치해주어야 한다. Server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중앙 프로세스이자 데이터 저장소 가용성 및 무결성 정보 제공 통계 데이터, 설정 데이터 저장. Web Interface zabbix Access Interface 제공 설치시 APM(Apache, PHP, MySQL) 사전 설치 필요 Proxy zabbix 서버의 부하 분산에 사용 서버를 대신하여 성능/..

[CKA 강의 요약] Kube Scheduler

Udemy의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강의의 18. Kube Scheduler 챕터를 공부한 내용으로 강의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강의를 들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 kube scheduler Scheduler는 pod의 스케쥴링을 담당한다. 어떤 pod가 어떤 node로 가야하는지만 결정하며, 실제 pod를 node에 배치하는 것은 kublet이다. - Node를 필터링해 적합하지 않은 node를 걸러낸다. - Node의 순위를 매겨 적합한 node 식별한다. (리소스 요구 사항과 제한 사항, Taints 및 toleration, 노드 셀렉터, 선호도 규칙등 커스텀 가능) - 올바른 pod인지 확..

[CKA 강의 요약] Kube Controller Manager

Udemy의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강의의 17. Kube Controller Manager 챕터를 공부한 내용으로 강의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강의를 들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kube controller manager는 다양한 컨트롤러를 관리한다. 지속적으로 node의 상태를 모니터링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 다양한 컴포넌트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전체 시스템이 의도 된 기능과 상태로 작동하게 하는 프로세스 이다. 1. Controller 종류 1-1) Node Controller 어플리케이션이 계속 정상적으로 실행 될 수 있도록 노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Kube API Server와 함께 조..

[CKA 강의 요약] Kube-apiserver

Udemy의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강의의 16. Kube-API Server 챕터를 공부한 내용으로 강의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강의를 들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 Kube-apiserver Kube-apiserver는 Kubernetes의 주요한 관리 구성 요소(primary management component)이다. Kube-apiserver는 master node에 위치해 사용자, 구성요소들의 모든 요청을 처리한다. 1-1) Kube-apiserver 동작 Kube-apiserver가 사용자가 요청한 명령어를 실행하는 여러 예시를 통해 kube-apiserver를 이해해본다. # kube..

[CKA 강의 요약] ETCD

Udemy의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강의의 13. ETCD For Beginners 챕터를 공부한 내용으로 강의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강의를 들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 ETCD ETCD는 키-값 저장 데이터 베이스이다. 행-열 구조(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표의 노란 음영처리 된 부분과 같이 행에 해당하는 값이 없어도 신규 열이 추가 되어야한다. 즉, 한 개의 신규 데이터를 추가하려면 전체 테이블이 영향을 받는다. 키-값 저장소는 각각 개인의 문서를 가지고 있다. 위 그림의 노란 음영 부분과 같이 한개의 문서에 키와 값이 추가되며 전체 테이블은 영향 받지 않는다. 이런 방식은 JSON이나 YAM..

[CKA 강의 요약] 쿠버네티스 구조 이해하기

Udemy의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강의의 11. Cluster Architecture 챕터를 공부한 내용으로 강의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강의를 들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0. 서론 Kubernertes는 "조타수"라는 어원에서 시작됐다. 뮴샤드씨 강의에서도 kubenetes를 선단(조업 따위의 일을 공동으로 하는 배의 무리)과 비교하여 설명을 많이해준다. 이번 챕터는 구체적으로 kubernetes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전에 간단하게 전체 구조를 훑어보는 강의이다. 기본 용어의 개념을 머리속에 넣어둬야지 강의를 듣는데 헷갈리지 않는다. 2. Master node의 구성 요소 2-1) ETCD 2-2..

DB replication

22/01/27 - 동작원리 http://cloudrain21.com/mysql-replication 참고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복제하는 방식은 크게 동기, 비동기 방식이 있다. 동기 방식은 Master 데이터 변경이 일어나면 slave까지 동시에 적용되는 것을 보장 비동기 방식은 Master 데이터 변경이 일어나면 slave 에는 시차를 두고 동기화 되는 방식이다. 비동기 방식은 slave를 이용해 바로 서비스를 이어 가기엔 데이터 접합성 문제가 있을 수 있다. Mysql은 기본적으로 비동기 복제 방식을 사용한다. Master - Slave Master가 데이터 변경에 대한 이력을 binary log에 기록한다. bin-log를 읽어 slave 쪽으로 데이터를 전송, slave에서 데이터를 수신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