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3

[Linux] 일반 사용자로 httpd 80 port 사용하기

apache 설치 이후 httpd를 root가 아닌 일반 사용자로 실행하면 1024 이하의 port(privileged port)는 root만 사용할 수 있어 httpd가 실행되지 않는다.이에 하단 명령어 사용시 일반 사용자로 privileged port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usr/sbin/setcap cap_net_bind_service=+ep /usr/local/apache/bin/httpd 이때 일반 사용자도 su 권한이 필요한 port를 사용할 수 있기에 chmod, chown 등을 사용해 어플리케이션의 권한 제어를 철저하게 해야한다.https://wiki.apache.org/httpd/NonRootPortBinding 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NHN 교육] NHN Cloud로 kubernetes 기초 다지기

0. NHN 교육 참석 후기2024.07.08(월) NHN에서 주관하는 K8S 교육을 다녀왔다.강의실 환경도 쾌적하고 강사님께서 정말 열심히 수업해 주셔서 하루 종일 재미있게 듣고 왔다!       내가 들은 강의는 K8S 기초에 대한 내용으로 CKA를 따기 위해 공부 중이던 나에게 딱 알맞은 강의였다. 혼자 공부 중이던 내용이 정리됐고, 핸즈온이 잘 되어있어 docker, k8s 명령어를 손에 익히기에 좋았다.강의를 70% 이상 수료하면 이런 귀여운 수료증도 줘서 뿌듯해진다.https://www.nhncloud.com/kr/edu 에서 신청 가능하니 관심 있는 교육이 있다면 NHN Cloud 가입 후 신청하자~  내가 들은 강의는 3가지 챕터로 이루어져 있다.컨테이너와 도커 이해하기쿠버네티스 개념 및 ..

[CKA 강의 요약] Practice Test - Deployments, Solution - Deployments (Optional)

Udemy의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강의의 42. Practice Test - Namespaces , 42. Practice Test - Namespaces  챕터를 공부한 내용으로 강의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강의를 들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https://uklabs.kodekloud.com/topic/practice-test-namespaces-2/ 에서 핸즈온을 사용 할 수 있다. Q1. How many Namespaces exist on the system? A. kubectl get namespacesQ2. How many pods exist in the researchnamespace? ..

[CKA 강의 요약] Namespaces

Udemy의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강의의 41. Namespaces 챕터를 공부한 내용으로 강의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강의를 들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1. Namespace1) Namespace란?Mark  Smith  와 Williams Mark라는 두 소년이 있는데 이 소년들은 각자의 집 안에서 가족들은 단순히 이름 부른다. 그러나 원한다면 다른 집에 있는 Mark를 부르기 위해 성을 붙여 부를 수 있다. 집 외부 사람은 성을 붙여야한다. 각 집에는 고유한 규칙이 있어 누가 뭘 할지 정하고, 소비할 수 있는 자체 자원이 정해져 있다.  위에서 말한 각자의 집은 Kubernetes에서 name..

[CKA 강의 요약] Practice Test - Services

Udemy의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강의의 39. Practice Test - Services,  40. Solution - Services (optional)  챕터를 공부한 내용으로 강의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강의를 들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https://uklabs.kodekloud.com/topic/practice-test-services-2/ 에서 핸즈온을 사용 할 수 있다. Q1. How many Services exist on the system? A. kubectl get serviceQ2. Information only (That is a default service created..

[CKA 강의 요약] Services - Loadbalancer

Udemy의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강의의 38. Services - Loadbalancer  챕터를 공부한 내용으로 강의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강의를 들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1. Load Balancer상단 구성의 Voting app 예시를 통해 Load Balancer 서비스에 대해 알아본다.이전 챕터에서 배운 Nodeport 서비스는 worker node 포트에서 외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줬다. 상위 구성에서 프론트엔드 어플리케이션을 집중 해보자. 'Voting-App'과 'Result-APP' Pod들은 클러스터의 worker node에서 호스팅 된다. 상위 구성처럼 클러스..

[CKA 강의 요약] Services Cluster IP

Udemy의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강의의 37. Services Cluster IP 챕터를 공부한 내용으로 강의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강의를 들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 Cluster IP풀 스택 웹 애플리케이션에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pod가 있다. 프론트엔드 웹 서버를 실행하는 pod 세트, 백엔드 웹서버를 실행하는 pod 세트, Redis와 같은 key-value store를 실행하는 pod 세트, MYSQL과 같은 영구 데이터베이스를 실행중인 pod 세트들이 있을 수 있다. 웹 프론트엔드 서버는 백엔드서버와 통신해야하며, 백엔드서버는 데이터베이스, Redis서버 등과 통신해야 한..

[CKA 강의 요약] Services

Udemy의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강의의 36. Services 챕터를 공부한 내용으로 강의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강의를 들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 ServicesServices는 내부의 구성 요소와 외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들이 내부 어플리케이션과 통신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하단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역할을 하는 파드의 그룹들로 이루어져 있다. - 프론트 엔드- 백엔드 프로세스- 외부 데이터 소스 이런 파드 그룹 간의 연결을 해주는게 Service이다. 즉, service는 어플리케이션의 마이크로서비스 간에 loose coupling을 가능하게 한다.더보기  loose ..

[CKA 강의 요약] Practice Test - Deployments, Solution - Deployments (Optional)

Udemy의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강의의 34. Practice Test - Deployments, 34. Solution - Deployments (Optional)  챕터를 공부한 내용으로 강의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강의를 들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https://uklabs.kodekloud.com/topic/practice-tests-deployments-2/에서 핸즈온을 사용 할 수 있다.Q1. How many PODs exist on the system? In the current(default) namespace.A. kubectl get podQ2. How many ReplicaSe..

[CKA 강의 요약] Certification Tip!

Udemy의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강의의 33. Certification Tip! 챕터를 공부한 내용으로 강의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강의를 들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YAML file을 만드는 것보다 kubectl 커맨드를 사용하는 것이 훨신 편할 때가 있다.이에 하단 링크를 참고해 kubectl 명령어에 익숙해지는 것을 권장한다.  https://kubernetes.io/docs/reference/kubectl/conventions/ - nginx pod 생성kubectl run nginx --image=nginx - '-o yaml'  옵션에 위치한 POD Manifest YAML file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