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강의/kubernetes

[CKA 강의 요약] Kube Scheduler

rnany 2024. 3. 7. 13:53

Udemy의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강의의 18. Kube Scheduler 챕터를 공부한 내용으로 강의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강의를 들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 kube scheduler

Scheduler는 pod의 스케쥴링을 담당한다.

어떤 pod가 어떤 node로 가야하는지만 결정하며, 실제 pod를 node에 배치하는 것은 kublet이다.

 

<Scheduler node에 pod를 배치 기준>

- Node를 필터링해 적합하지 않은 node를 걸러낸다.
- Node의 순위를 매겨 적합한 node 식별한다.
  (리소스 요구 사항과 제한 사항, Taints 및 toleration, 노드 셀렉터, 선호도 규칙등 커스텀 가능)
- 올바른 pod인지 확인한다.
- Pod가 node에 잘 배치 됐는지 확인한다.

 


 

2. Kube scheduler 다뤄보기

2-1)  Kube-scheduler 설치

# wget https://storage.googleapis.com/kubernetes-release/release/v1.13.0/bin/linux/amd64/kube-scheduler

Kubernetes 릴리즈 페이지에서 kube-scheduler 바이너리를 다운로드하고 extract 하고, 서비스로 실행하면 된다.

 

서비스로 실행할 때 Scheduler 구성 파일을 지정할 수 있다.

 

2-2) kubeadm 설치  kube-scheduler 옵션

kubeadmin 툴로 설치 했으면 kubeadm 툴은 kube-scheduler를 kube system 네임스페이스에서 master node의 파드로 배포한다.

 

kube-scheduler 옵션은 /etc/kubernetes/manifests 경로의 pod 설정 파일에서 옵션을 볼 수 있다.

$ cat /etc/kubernetes/manifests/kube-scheduler.yaml

 

실행중인 프로세스들과 적용된 옵션들은 ps 명령어로 볼 수 있다.

$ ps -aux | grep kube-scheduler

'IT 강의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KA 강의 요약] Kube Proxy  (0) 2024.03.14
[CKA 강의 요약] Kublet  (0) 2024.03.14
[CKA 강의 요약] Kube Controller Manager  (0) 2024.03.07
[CKA 강의 요약] Kube-apiserver  (0) 2024.03.07
[CKA 강의 요약] ETCD  (0) 2024.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