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 3

[Linux] 일반 사용자로 httpd 80 port 사용하기

apache 설치 이후 httpd를 root가 아닌 일반 사용자로 실행하면 1024 이하의 port(privileged port)는 root만 사용할 수 있어 httpd가 실행되지 않는다.이에 하단 명령어 사용시 일반 사용자로 privileged port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usr/sbin/setcap cap_net_bind_service=+ep /usr/local/apache/bin/httpd 이때 일반 사용자도 su 권한이 필요한 port를 사용할 수 있기에 chmod, chown 등을 사용해 어플리케이션의 권한 제어를 철저하게 해야한다.https://wiki.apache.org/httpd/NonRootPortBinding 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NHN 교육] NHN Cloud로 kubernetes 기초 다지기

0. NHN 교육 참석 후기2024.07.08(월) NHN에서 주관하는 K8S 교육을 다녀왔다.강의실 환경도 쾌적하고 강사님께서 정말 열심히 수업해 주셔서 하루 종일 재미있게 듣고 왔다!       내가 들은 강의는 K8S 기초에 대한 내용으로 CKA를 따기 위해 공부 중이던 나에게 딱 알맞은 강의였다. 혼자 공부 중이던 내용이 정리됐고, 핸즈온이 잘 되어있어 docker, k8s 명령어를 손에 익히기에 좋았다.강의를 70% 이상 수료하면 이런 귀여운 수료증도 줘서 뿌듯해진다.https://www.nhncloud.com/kr/edu 에서 신청 가능하니 관심 있는 교육이 있다면 NHN Cloud 가입 후 신청하자~  내가 들은 강의는 3가지 챕터로 이루어져 있다.컨테이너와 도커 이해하기쿠버네티스 개념 및 ..

[CKA 강의 요약] Practice Test - Deployments, Solution - Deployments (Optional)

Udemy의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강의의 42. Practice Test - Namespaces , 42. Practice Test - Namespaces  챕터를 공부한 내용으로 강의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강의를 들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https://uklabs.kodekloud.com/topic/practice-test-namespaces-2/ 에서 핸즈온을 사용 할 수 있다. Q1. How many Namespaces exist on the system? A. kubectl get namespacesQ2. How many pods exist in the researchnamespace? ..